2023.02. ~ 12.
- 문화도시 실행주체인 민간 거버넌스 구성 및 운영
- 시민이 문화도시 조성사업 정책제안 및 의사결정 과정 참여를 통해 문화도시의 주체로 성장
- 문화도시 계획 수립에 대한 협의체 별 시민 의견 제안
- 문화도시 활성화 및 실효성 있는 운영방안 제안
- 문화도시 사업 발굴 · 보완 · 실행
- 제5차 법정 문화도시 준비
문화도시 조성을 위한
문화시민협의체
문화시민협의체란?
시민이 직접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정책을 제안하거나 의사결정 과정의 참여를 통해
문화도시의 주체로써의 역할을 수행합니다!
23년도 문화시민협의체는 총 30명이 위촉되었으며
청소년, 청년, 중장년, 노년층을 비롯한 일반 시민그룹 '시민협의체',
문화예술분야에서 활동하는 '문화시민협의체',
문화예술관련 협동조합, 사회적기업, 마을기업 등의 대표/구성원인 '사회적경제협의체'로 구성되었습니다.
2월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한 해 동안 30명의 문화시민 위원님들과
법정 문화도시를 만들어 갈 예정입니다🙏
[ 2월 문화시민협의체 오리엔테이션 ]
위원님들과의 첫 만남의 시간이었던 오리엔테이션에서는
법정문화도시에 대한 설명과 22년도 문화도시사업성과, 23년도 예비문화도시 설계과정에 대해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🎇
[ 2월 문화시민협의체 오리엔테이션 ]
3월 정기회의에서는 협의체별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선출하며 조금 더 가까워 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.
법정문화도시의 세부 사업인 '모두의 시선' 의 구체화를 위해
관심사별로 분과를 나누어 아이디어를 모았습니다!
- 협의체별 위원장 및 부위원장 선출 -
![]() |
![]() |
어린이의 시선 | 청소년의 시선 |
![]() |
![]() |
청년의 시선 |
중장년의 시선 |
[ 4월 정기회의 ]
4월 정기회의에는 진행중이 사업에 대한 현황을 보고하고
22년 예비사업으로 진행했던 '융복합 문화예술 창작지원 <가치해보꾜>' 에 대한 피드백 및 구체화 회의를 진행했습니다.
그리고 3월에 진행했던 '모두의 시선'에서 내용 보충이 필요했던 중장년/노년의 시선에 의견을 나누었습니다🙌
![]() |
![]() |
사업추진현황 보고 | 시민협의체 |
![]() |
![]() |
문화예술인 협의체 | 사회적경제협의체 |
[ 5월 정기회의 ]
5월 정기회의에는 현재까지 진행 중인 문화도시 예비사업에 대한 중간 피드백이 진행되었습니다.
분과별로 연관사업에 대한 피드백 시간을 가졌습니다
[ 6월 정기회의 ]
6월 정기회의에는 5월에 이어 예비사업 중간 피드백과
이번엔 분과별이 아닌 관심사별로 팀을 나누어 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
[ 7월 정기회의 ]
7월 정기 회의에서는 현장실사 참여 시민 선발과
예비문화도시 사업의 성과 공유 전시에 내한 논의가 진행되었습니다.
성과 전시의 컨셉과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자리었습니다!
[ 8월 정기회의 ]
8월 정기회의에는 문화영향평가 결과를 공유하고 문화시민협의체 의견 수렴시간을 가졌습니다.
또한 본도시 사업 예산 변경 보고 및 심의,
문화시민협의체 회의 및 라운드테이블에서 나눈 '모두의 시선'의 취합내용을
공유하였습니다.
[ 9월 정기회의 ]
9월 정기회의에서는
새롭게 도전하는 '대한민국 문화도시'에 대한 사업 방향 및 계획에 대해
협의체 위원님들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.
더불어 기존계획안에서 변경된 내용과
앞으로의 협의체의 역할 및 방향에 관해 논의하였습니다.
[ 10월 정기회의 ]
10월 정기회의에서는
하반기에 진행되는 문화도시포럼 <문화로, 연대> 중
첫번째, 문화도시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계획 보고와
경주에서 준비하는 '대한민국 문화도시' 공모를 위한 진행상황에 대해 보고하고
시민협의체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.